The Danish Girl 전기 영화 리뷰

 

The Danish Girl

『진정한 자아를 향한 용기와 사랑의 여정』

🎥 영화 개요

🎬 제목: The Danish Girl (2015)
🌍 국가: 🇬🇧 영국 / 🇩🇰 덴마크 / 🇩🇪 독일
🎞️ 장르: 드라마 / 전기 / 로맨스
⏳ 러닝타임: 120분
📢 감독: Tom Hooper (톰 후퍼)
📖 원작: David Ebershoff (데이비드 에버쇼프) 《The Danish Girl》

👩‍💼 출연: Eddie Redmayne – Einar Wegener / Lili Elbe 역
Alicia Vikander – Gerda Gottlieb 역

🧩 스토리 심층 탐구 (스포일러 포함)

🎨 영화의 미학적 접근과 연출

톰 후퍼 감독은 이 영화를 '화려한 시대극'의 틀 안에 넣어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극대화했습니다.

  • '그림 같은' 미장센: 영화는 데니 코헨의 촬영과 이브 스튜어트의 미술 디자인, 파코 델가도의 의상 디자인이 결합되어 1920년대 코펜하겐과 파리의 보헤미안 분위기를 탐미적이고 유화 같은 톤으로 구현합니다. 이는 릴리와 게르다가 예술가라는 설정을 반영하여, 성 정체성의 발견을 예술적 창조의 과정처럼 보이게 합니다.
  • 레드메인의 연기: 에디 레드메인은 에이나르가 릴리로 변모하는 과정을 디테일한 몸짓과 몸의 언어로 표현하며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특히 에이나르가 릴리를 처음 인지하고 여성의 몸짓을 배워가는 과정은 캐릭터의 내적 갈등을 물리적으로 구현하려 노력합니다. (다만, 이 연기는 이후 여성의 고정관념을 과장했다는 비판도 받았습니다.)

🧑‍🤝‍🧑 정체성의 발견과 희생적인 사랑

영화는 릴리 엘베의 정체성 투쟁과 더불어 아내 게르다의 희생과 헌신을 집중적으로 조명합니다.

  • 정체성의 각성 (릴리): 남성 화가 에이나르가 아내 게르다의 그림 모델이 되기 위해 여성 복장을 하면서 릴리 엘베라는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발견합니다. 이 과정은 릴리가 자신이 평생 유지하려 했던 에이나르라는 가면을 벗어던지고 진정한 자아를 찾기 위해 사회적 낙인과 신체적 위험을 감수하는 용감한 투쟁입니다.
  • 게르다의 헌신적인 사랑 (게르다): 알리시아 비칸데르가 연기한 게르다는 이 영화의 감정적 핵심입니다. 그녀는 남편을 잃는 고통과 외로움, 그리고 사회적 비난에 맞서면서도, 릴리의 진정한 자아 실현을 위해 헌신적인 지지를 보냅니다. 게르다의 이야기는 사랑하는 사람의 변화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지지하는 '무조건적인 사랑'이라는 보편적인 테마를 강조하며, 비칸데르는 이 복잡한 감정적 여정을 훌륭하게 표현하여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습니다.
  • 결말의 비극성: 릴리는 트랜지션을 완성하기 위해 위험한 성전환 수술(당시로서는 매우 실험적이었던)을 감행하며, 결국 합병증으로 사망합니다. 영화는 이를 진정한 자아를 얻기 위한 비극적인 희생으로 묘사하며, 릴리의 용기를 기립니다.

💉 논란과 비판적 시선

《The Danish Girl》은 트랜스젠더 이야기를 주류 영화로 끌어올린 공로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습니다.

  • 시스젠더 배우 캐스팅 논란: 트랜스젠더 선구자의 역할을 시스젠더 남성 배우(에디 레드메인)에게 맡긴 것에 대해 트랜스젠더 커뮤니티는 트랜스젠더 배우에게 주연을 맡길 기회를 박탈했다는 비판을 제기했습니다. (이후 레드메인은 이 캐스팅이 "실수였다"고 인정했습니다.)
  • 트랜스젠더 경험의 미화 및 축소: 영화가 릴리의 성 정체성 자각 과정을 과도하게 정형화된 '여성성'의 모방으로 단순화하고, 트랜스젠더의 경험을 '고통과 비극'이라는 관점에서만 다루었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일부 평론가들은 릴리의 캐릭터가 진정한 깊이 없이 '고정관념적인 여성성'의 카피로 느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 게르다의 퀴어 정체성 삭제: 실제 역사 속 게르다 베게너는 레즈비언/양성애자로 알려져 있으며, 여성 복장의 릴리를 모델로 그리면서 자신의 예술적 성공을 이루었지만, 영화는 이 부분을 축소하고 릴리의 '이성애자 아내' 역할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그녀의 퀴어 정체성을 삭제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습니다.

🏳️‍⚧️ 예술적 외피 속의 정체성 투쟁과 논쟁

《The Danish Girl》은 시각적으로 화려하고 감정적으로 강렬한 시대극입니다. 릴리 엘베의 용감한 선구자적 여정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특히 알리시아 비칸데르의 연기는 찬사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트랜스젠더 서사에 대한 접근 방식과 캐스팅은 현대적 관점에서 볼 때 여러 한계를 드러내며, 논쟁의 여지가 많은 '논란적인 명작'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 영화는 '사랑이 정체성의 변화를 어떻게 견디고 지지하는가'에 대한 탐구로 가장 강력한 울림을 줍니다.

🎯 개인기준(취향) 평점

💕 러브 신 수위: ♥♥♥
⭐ 평점: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