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의 끝과 시작 사이, 우리가 어른이 되어가는 순간』
🎥 시리즈 개요
🎬 제목: Almost Adults (2016)
🌍 국가: 🇨🇦 캐나다
🎞️ 장르: 성장 / 우정 / 퀴어
🗓️ 제작 및 방영: Unsolicited Projects, 2016, 단일 장편
⏳ 러닝타임: 90분
📢 감독: Sarah Rotella (사라 로텔라)
🖋️ 각본: Adrianna DiLonardo (아드리아나 디로나르도)
📺 플랫폼: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Tubi, Vimeo On Demand
👩💼 출연: Elise Bauman (엘리스 바우만) – Mackenzie(맥켄지) 역
Natasha Negovanlis (나타샤 네고반리스) – Cassie(캐시) 역
Justin Gerhard (저스틴 거하드) – Elliot(엘리엇) 역
🧩 스토리 심층 탐구 (스포일러 포함)
🌱 공유된 삶과 상호 의존성
매켄지와 캐시는 어린 시절부터 모든 것을 공유해온 '평생의 절친'이자 룸메이트입니다.
- 동질감의 위안: 이들은 서로에게 가장 편안한 존재이자, 성인이 되어가는 불안정한 시기를 함께 헤쳐나가는 '안전지대'였습니다. 그들의 대화는 솔직하고, 유머러스하며, 때로는 서로에게 거침없는 충고를 날리는 수준의 높은 친밀도를 보여줍니다.
- 성장 통과의례의 동반자: 캐시가 남자친구와의 관계 문제로 고민할 때나, 매켄지가 퀴어로서의 정체성을 고민할 때, 이들은 본능적으로 서로에게 의지합니다. 이들의 관계는 공유된 정체성(shared identity)에 가깝습니다.
❓ '변화'라는 위협
우정에 균열이 생기는 핵심 원인은 바로 '변화'입니다. 두 친구 모두 인생의 큰 전환점을 맞이하지만, 그 변화의 성격이 달라 서로에게 소홀해집니다.
① 매켄지의 '내적 변화'와 비밀
매켄지의 삶의 변화는 '자신의 성적 정체성을 발견하는' 내부적인 과정에서 시작됩니다.
- 커밍아웃의 미루기: 매켄지는 부모님에게는 커밍아웃하지만, 가장 가까운 캐시에게는 차마 말하지 못합니다. 이는 그녀가 캐시를 믿지 못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가장 중요한 정체성 변화를 캐시가 이해하지 못할까 봐 두려워하는 동시에, 그 변화가 우정을 영구적으로 바꿀까 봐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 '베이비 다이크'의 고군분투: 매켄지가 새로운 퀴어 커뮤니티와 데이팅 세계를 탐색하기 시작하면서, 캐시는 알 수 없는 새로운 삶의 영역으로 매켄지가 멀어지는 것을 느낍니다. 매켄지는 이 새로운 삶에 적응하느라 캐시에게 소홀해집니다.
② 캐시의 '외적 변화'와 자기중심성
캐시의 삶의 변화는 '오랜 연인과의 이별'이라는 외부적인 사건에서 비롯됩니다.
- 실연의 아픔에 대한 몰두: 캐시는 남자친구와의 이별로 인해 극심한 혼란과 슬픔에 빠집니다. 그녀는 자신의 감정에 지나치게 몰두한 나머지, 매켄지의 은밀한 변화와 고통을 감지하지 못하고 매켄지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지 않습니다.
- '소외감'에 대한 질투: 캐시는 매켄지의 커밍아웃 소식을 듣자, 매켄지의 성 정체성 자체를 비난하기보다는 "왜 나에게만 말하지 않았냐"는 이기적인 반응을 보입니다. 캐시에게 매켄지의 비밀은 우정의 깊이에 대한 배신이자, 자신이 더 이상 매켄지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이 아니라는 소외감으로 다가옵니다.
🔄 심리적 역학: 이기심과 재정립의 과정
영화는 두 주인공 모두 완벽하지 않고 이기적인 젊은 성인임을 인정합니다.
- 상호 비난: 매켄지가 자신의 비밀을 고백하지 않은 것에 대해 캐시가 분노하고, 캐시는 자신의 문제에만 몰두하며 매켄지를 배려하지 않은 것에 대해 매켄지가 분노하면서 우정은 폭발합니다. 이 충돌은 서로의 성숙하지 못한 이기심이 부딪친 결과입니다.
- 우정의 재정의: 두 사람은 물리적으로 잠시 거리를 두면서 각자 성장의 시간을 가집니다. 매켄지는 새로운 관계 속에서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캐시는 스스로의 힘으로 직장을 구하며 정서적인 독립을 쟁취합니다. 이 과정은 우정을 '의존'이 아닌 '선택'과 '노력'의 관계로 재정의하는 단계입니다.
🧑🤝🧑 성숙으로 가는 플라토닉한 사랑
'올모스트 어덜츠'의 가장 감동적인 순간은 갈등의 해결 지점입니다. 캐시와 매켄지는 서로의 새로운 정체성과 삶의 방향을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고, 여전히 서로를 사랑하고 필요로 한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이들의 우정은 "성인이 된다는 것은 단순히 로맨틱한 파트너를 찾는 것이 아니라, 오래된 관계가 새로운 삶의 방식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것"임을 보여줍니다. 매켄지와 캐시의 관계는 모든 사람이 겪는 성장통, 즉 친구가 나보다 더 빨리 또는 다르게 성장할 때 느끼는 상실감과 재결합의 기쁨을 가장 솔직하게 담아낸 플라토닉한 사랑 이야기입니다.
🎯 개인기준(취향) 평점
💕 러브 신 수위: ♥
⭐ 평점: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