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lma 스웨덴 영화 리뷰

 

Hilma

『예술과 영성, 그리고 퀴어 동반자의 깊은 유대가 빚어내는 내면의 빛과 그림자』

🎥 영화 개요

🎬 제목: Hilma (2022)
🌍 국가: 🇸🇪 스웨덴
🎞️ 장르: 드라마 / 전기 / 예술
🗓️ 제작 및 방영: Viaplay Group, 2023년
⏳ 러닝타임: 119분
📢 감독: Lasse Hallström
🖋️ 각본: Lasse Hallström
📺 플랫폼: Apple TV+, Prime Video 등

👩‍💼 출연: Tora Hallström – Young Hilma af Klint, Lena Olin – Older Hilma af Klint
Catherine Chalk – Young Anna Cassel, Diana Valiusaitiene – Older Anna Cassel
Lily Cole – Matilda, Tom Wlaschiha – Rudolf Steiner

🧩 스토리 심층 탐구 (스포일러 포함)

🎨 미지의 시대를 앞서간 선구자, 힐마 아프 클린트의 영적 여정

'Hilma'는 스웨덴의 전설적인 감독 라세 할스트롬(Lasse Hallström)이 연출하고 각본을 맡은 전기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스웨덴의 화가이자 추상 미술의 선구자로 뒤늦게 재평가받은 힐마 아프 클린트(Hilma af Klint, 1862-1944)의 삶과 예술, 그리고 그녀의 깊은 영적 탐구를 밀도 있게 그립니다. 감독의 실제 아내인 레나 올린(Lena Olin)과 딸인 토라 할스트롬(Tora Hallström)이 각각 노년과 청년 시절의 힐마를 연기하여 더욱 의미를 더합니다.

📜 줄거리 개요

영화는 힐마 아프 클린트의 삶을 시간 순서대로 따라가기보다는, 그녀의 젊은 시절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전환점들을 교차하며 보여줍니다.

  • 젊은 시절의 영적 자각: 힐마는 어릴 적 여동생의 죽음과 아버지의 실종을 겪으며 삶과 죽음, 그리고 영혼의 존재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이는 그녀가 오컬티즘, 신지학, 강신술 등 영적인 세계에 몰두하는 계기가 됩니다.
  • 미술 아카데미와 '다섯 친구들': 힐마는 스웨덴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뛰어난 재능을 보이지만, 당시 아카데미의 보수적인 사실주의 회화 방식에 한계를 느낍니다. 그녀는 네 명의 여성 예술가 친구들과 함께 '다섯 친구들(De Fem, The Five)'이라는 영적 그룹을 결성하여 강신술, 자동 기술(automatic drawing) 등을 통해 영적인 메시지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실험을 시작합니다.
  • 추상 미술의 탄생: 이 영적 탐구는 곧 힐마의 독창적인 추상 회화로 이어집니다. 그녀는 영적인 존재들의 지시를 받아 거대한 추상화 연작을 그리기 시작하며, 이는 당대 칸딘스키보다 앞선 시기에 이루어진 혁명적인 시도였습니다.
  • 안나 카셀과의 관계: 힐마의 삶에서 가장 중요하고 오랜 관계는 예술가이자 친구인 안나 카셀(Anna Cassel)과의 깊은 유대입니다. 이들의 관계는 동료애, 정신적 교감, 그리고 로맨틱한 사랑을 넘나드는 복잡한 형태로 그려집니다.
  • 루돌프 슈타이너와의 만남: 힐마는 자신의 영적 스승으로 여겼던 인지학의 창시자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를 찾아가 자신의 작품과 메시지를 보여주지만, 슈타이너는 그녀의 작품이 너무 급진적이라며 최소 50년 동안은 대중에게 공개하지 말라는 조언을 합니다. 이는 힐마의 평생에 걸친 고뇌의 씨앗이 됩니다.
  • 뒤늦은 인정: 힐마는 생전에 자신의 작품이 제대로 이해받지 못할 것을 예감하고, 작품을 일반에 공개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깁니다. 그녀의 작품은 사후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재발견되고 추상 미술의 선구자로 인정받게 됩니다.

💫 예술, 영성, 그리고 시대와의 불화

🖼 추상 미술의 탄생과 영적 근원

영화는 힐마 아프 클린트의 추상 회화가 단순히 미학적 실험의 결과가 아니라, 깊은 영적 탐구와 영매적 경험에서 비롯되었음을 강조합니다.

  • 신지학/강신술: 힐마는 당시 유럽 지식인 사회에 유행했던 신지학과 강신술을 통해 이 세계 너머의 진리를 탐구했습니다. 그녀에게 그림은 영적인 메시지를 시각화하는 도구이자, 보이지 않는 세계와 소통하는 통로였습니다.
  • 혁명성: 1900년대 초반, 서양 미술계가 아직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에 머물러 있을 때 힐마는 이미 유기적이고 기하학적인 추상 형태를 그렸습니다. 영화는 이러한 시도들이 당대 미술계의 관습을 완전히 전복하는 것이었음을 보여줍니다.

👩 여성 예술가와 시대의 제약

'Hilma'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여성 예술가가 직면했던 한계와 편견을 섬세하게 다룹니다.

  • 아카데미의 보수성: 당시 미술 아카데미는 여성에게 엄격한 드로잉과 사실주의 회화만을 요구했으며, '위대한 예술가'는 남성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습니다. 힐마는 이러한 제도적 한계 속에서도 자신만의 길을 찾아갑니다.
  • 공개되지 못한 천재성: 슈타이너의 조언과 시대의 불수용성은 힐마의 작품이 생전에 빛을 보지 못하게 한 결정적인 요인입니다. 영화는 그녀의 천재성이 남성 중심적이고 이성적인 담론에 갇힌 시대에 얼마나 고독했는지를 보여줍니다.

💖 힐마와 안나 카셀의 관계: 사랑, 우정, 그리고 뮤즈

힐마와 안나 카셀의 관계는 영화의 가장 감동적인 축 중 하나입니다.

  • 깊은 유대: 안나는 힐마의 영적 탐구와 예술적 여정에서 가장 중요한 동반자이자 지지자입니다. 이들의 관계는 단순한 친구나 동료를 넘어, 서로에게 깊은 영향을 주고받는 지적, 감정적, 그리고 로맨틱한 관계로 그려집니다.
  • 퀴어적 해석: 영화는 이들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레즈비언 관계'라고 명시하지 않지만, 서로에 대한 깊은 애정과 의존, 그리고 평생을 함께하는 모습은 퀴어적 사랑으로 해석될 여지를 충분히 남깁니다. 안나는 힐마의 예술적 영감이 되기도 하고, 삶의 고통을 함께 나누는 존재입니다.

🎞️ 라세 할스트롬의 연출: 시각적 아름다움과 내면 탐구

라세 할스트롬 감독은 힐마의 그림에서 영감을 받은 화려하고 몽환적인 시각 효과를 사용하여 그녀의 내면세계와 영적 경험을 구현합니다.

  • 영상미: 영화는 힐마의 작품처럼 강렬한 색채와 신비로운 상징들로 가득 차 있으며, 이는 관객을 힐마의 영적 여정 속으로 끌어들입니다.
  • 내면 집중: 외부의 사건보다는 힐마의 내면세계, 그녀가 경험하는 영적 비전, 그리고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에 집중하여 심리적인 깊이를 더합니다.
  • 배우들의 열연: 레나 올린과 토라 할스트롬은 각기 다른 시기의 힐마를 입체적으로 연기하며 캐릭터에 생명력을 불어넣습니다.

✨ 결론 및 의의

'Hilma'는 뒤늦게 세상에 드러난 천재 예술가의 비범한 삶을 조명하는 감동적인 전기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단순히 힐마 아프 클린트의 작품을 소개하는 것을 넘어, 그녀가 왜, 그리고 어떻게 시대를 앞서간 추상화를 그릴 수 있었는지, 그 깊은 영적이고 내면적인 동기를 탐구합니다.

동시에, 이는 여성 예술가의 고뇌, 시대와의 불화, 그리고 진정한 자신을 찾아가는 용기 있는 여정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Hilma'는 관객에게 시대를 초월한 아름다움과 예술의 본질, 그리고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믿음의 힘에 대해 깊은 성찰을 제공하는 중요한 작품입니다.

🎯 개인기준(취향) 평점

💕 러브 신 수위: ♥♥
⭐ 평점: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