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ostonians 역사극 영화 리뷰

 

The Bostonians

『여성 해방과 사랑 사이에서 길을 찾는 한 여성의 내면 투쟁』

🎥 영화 개요

🎬 제목: The Bostonians (1984)
🌍 국가: 🇺🇸 미국
🎞️ 장르: 드라마 / 로맨스 / 역사극
⏳ 러닝타임: 115분
📢 감독: James Ivory (제임스 아이보리)
🖋️ 각본: Ruth Prawer Jhabvala (루스 프라우어 재바발라)
📖 원작: Henry James (헨리 제임스)의 동명 소설 (1886)

👩‍💼 출연: Vanessa Redgrave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 Olive Chancellor
Madeleine Potter (마들렌 포터) – Verena Tarrant

🧩 스토리 심층 탐구 (스포일러 포함)

🏛️ 이념, 열정, 그리고 소유욕의 삼각관계

영화의 핵심은 베리나 태런트(Verena Tarrant)라는 젊은 여성 연설가를 차지하기 위한 올리브 챈슬러(Olive Chancellor)바질 랜섬(Basil Ransom) 두 인물의 심리적, 이념적 대결입니다.

  • 올리브 챈슬러: 부유하고 신경질적인 보스턴의 급진적 페미니스트이자 참정권 운동가입니다. 그녀는 베리나를 여성 해방 운동의 구원자이자 자신의 영혼의 반려자로 여기며, 그녀에게 깊은 감정적, 정신적 애착을 느낍니다. 이 애착은 종종 '보스턴 결혼(Boston Marriage)'으로 불리는 동성 간의 낭만적 우정, 또는 억압된 레즈비언적 사랑으로 해석됩니다.
  • 바질 랜섬: 남부 미시시피 출신의 가난한 변호사로, 강력한 보수주의자이자 가부장적 이념의 대변자입니다. 그는 여성의 정치 참여를 반대하지만, 베리나의 매력에 빠져 그녀를 '여성적인' 역할, 즉 아내로 되돌려놓으려 합니다.
  • 베리나 태런트: 신비한 영적 능력과 대중을 사로잡는 연설 능력을 가진 젊은 여성입니다. 그녀는 올리브에게서 이념적 헌신과 안정적인 삶을 얻지만, 바질에게서는 남성적인 사랑과 열정을 느낍니다. 그녀는 페미니즘적 대의와 전통적인 사랑 사이에서 갈등하는 19세기 젊은 여성의 표상입니다.

🍎 이념의 충돌과 억압된 욕망

이 영화는 단순한 시대극을 넘어, 첨예한 사회적, 심리적 주제를 다룹니다.

  • 이념적 전쟁: 올리브(페미니즘, 북부, 진보)와 바질(가부장제, 남부, 보수)은 베리나를 통해 19세기 후반 미국 사회의 주요 가치관과 남북 전쟁 이후의 문화적 갈등을 대변합니다. 베리나의 최종 선택은 당시 사회가 '새로운 여성(New Woman)'에게 허락하는 삶의 형태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평이 됩니다.
  • '보스턴 결혼'과 억압된 퀴어 코드: 올리브와 베리나의 관계는 낭만적 동성애의 강력한 서브텍스트를 가집니다. 올리브의 베리나에 대한 소유욕과 질투는 단순히 멘토-제자 관계를 넘어섭니다. 영화는 헨리 제임스 시대의 젠체하는(genteel) 억압 속에서도, 동성 간의 깊은 애정과 그로 인한 고통을 섬세하게 포착합니다.
  • 사랑인가 소유인가: 올리브와 바질 모두 베리나를 열렬히 사랑하지만, 그들의 애정은 순수한 사랑이라기보다는 베리나의 '영혼'을 소유하고, 그녀를 자신의 이념적 틀 안에 가두려는 욕망에 가깝습니다. 올리브는 베리나를 여성 참정권의 상징으로, 바질은 아내로서의 전통적 역할로 통제하려 합니다.

📜 머천트-아이보리 스타일과 문학적 각색

  • 미적 완성도: 머천트-아이보리 작품 특유의 화려하고 정교한 시대 고증, 섬세한 촬영(Walter Lassally), 웅장한 미장센은 19세기 후반 보스턴의 지적인 분위기와 사회적 격식을 완벽하게 재현합니다.
  • 원작과의 차이: 헨리 제임스의 원작은 베리나가 바질과 함께 떠날 때 "흐느끼며, 그녀가 흘릴 많은 눈물의 첫 방울"이라고 묘사하며 비극적이고 불확실한 미래를 암시합니다. 하지만 영화(1984)는 이 결말을 약간 수정하여 올리브가 대중 앞에서 연설하는 장면을 추가함으로써, 올리브에게 개인적 패배 속에서도 이념적 헌신을 완성하는 듯한 약간의 명예를 부여합니다.

⚔️ 베리나에게 더 큰 위협은 누구인가?

👰 올리브 챈슬러의 위협: 감정적 소유욕과 통제

올리브는 겉으로는 여성 해방을 외치는 '좋은 편'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그녀의 행동은 가장 교활하고 질식할 듯한 종류의 위협을 가합니다.

  • 배타적인 애정: 올리브의 베리나에 대한 애정은 순수한 멘토링이 아니라, 광적인 소유욕과 질투심이었습니다. 그녀는 베리나가 다른 사람(특히 남성)과 관계를 맺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고, 베리나의 모든 시간을 통제하려 합니다.
  • 자기 대리(Proxy Self): 올리브는 신경질적이고 대중 앞에 나서기를 꺼려했기 때문에, 베리나의 재능을 자신이 이루지 못한 꿈을 실현해 줄 도구로 여겼습니다. 그녀는 베리나를 자신의 이념적 인형으로 만들었고, 베리나의 자율적인 사고나 개인적인 행복은 무시했습니다.
  • 비극적 결말: 올리브는 베리나를 잃었을 때 그녀가 "나의 생명(My life)"이라고 부르며 절규하는데, 이는 베리나가 올리브의 정체성 그 자체가 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올리브는 베리나를 노예처럼 소유하려 했으며, 이는 그녀의 개인적 행복을 파괴할 가장 큰 위험이었습니다.

🤵‍♂️ 바질 랜섬의 위협: 이념적 가부장제와 침묵

바질은 올리브와 달리 자신의 의도를 숨기지 않습니다. 그는 솔직하게 여성의 공적 역할에 반대하는 구시대적 인물입니다.

  • 여성의 역할 규정: 바질은 베리나에게 여성의 적절한 역할은 가정 내에 있으며, 공적 연설은 부자연스럽다고 지속적으로 설득합니다. 그의 위협은 베리나의 지적 능력이나 정치적 목소리를 완전히 말살하는 데 있습니다.
  • 매력으로 포장된 통제: 바질은 매력적인 남성성을 이용해 베리나의 여성적인 측면과 전통적인 로맨스에 대한 갈망을 자극합니다. 베리나가 결국 바질을 선택하면서, 그녀는 자신의 페미니즘적 대의를 배신하고 가부장적 질서 안으로 돌아가는 비극적인 선택을 하게 됩니다.

헨리 제임스의 원작과 영화는 두 위협 모두가 파괴적임을 보여줍니다.

  • 올리브의 소유욕은 베리나를 '자아 없는 이념의 대변자'로 만들어 그녀의 개인성을 말살시키려 했습니다.
  • 바질의 가부장제는 베리나를 '말 없는 아내'로 만들어 그녀의 공적 목소리를 침묵시키려 했습니다.

영화의 마지막, 베리나가 바질과 함께 도망가면서 울음을 터뜨리는 장면은 그녀가 선택한 전통적인 행복조차도 개인의 자유와 목소리를 잃는 대가를 치르는 비극임을 암시하며 이 논쟁에 씁쓸한 마침표를 찍습니다.

👩‍🎓 19세기 보스턴 페미니스트

《The Bostonians》는 겉으로는 우아하고 느린 고전적인 시대극이지만, 그 내부에는 여성의 역할, 동성애 혐오, 그리고 정치적 열정에 대한 뜨거운 논쟁을 담고 있습니다. 올리브와 바질의 대립을 통해 사랑이라는 이름 뒤에 숨겨진 소유욕과 지배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이념적 대의와 개인의 행복 사이에서 고뇌하는 여성의 딜레마를 섬세하게 포착한 작품입니다.

🎯 개인기준(취향) 평점

💕 러브 신 수위: ♥
⭐ 평점: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