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데스타가 자유와 욕망 사이에서 빚어내는 금기와 해방의 사랑
🎥 시리즈 개요
🎬 제목: The Art of Joy (원제: L'arte della gioia, 2024)
🌍 국가: 🇮🇹 이탈리아 / 🇬🇧 영국
🎞️ 장르: 드라마 / 역사극 / 여성 중심 서사
🗓️ 제작 및 방영: Sky, SkyShowtime, Apple TV / 총 6회
⏳ 러닝타임: 에피소드별 약 50분 내외
📢 감독: Valeria Golino1~5화, Nicolangelo Gelormini 6화
🖋️ 각본: Valeria Golino, Francesca Marciano, Valia Santella, Luca Infascelli, Stefano Sardo
📖 원작: Goliarda Sapienza, 소설 "L'arte della gioia"
📺 플랫폼: SkyShowtime, Apple TV
👩💼 출연: Tecla Insolia – Modesta (모데스타)
Jasmine Trinca – Leonora (레오노라)
Alma Noce – Beatrice (베아트리스)
🧩 스토리 심층 탐구 (스포일러 포함)
🩸 모데스타: 가부장제에 도전하는 욕망의 화신
주인공 모데스타(Modesta)는 20세기 초 보수적인 시칠리아의 빈곤한 환경에서 태어난 인물입니다. 그녀의 삶은 억압과 폭력으로 시작되지만, 모데스타는 이에 굴복하지 않고 오직 '기쁨(Gioia)'을 추구하며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합니다.
- 생존 본능과 야망: 모데스타는 생존을 위해 지성과 교활함을 활용하며, 수녀원과 귀족 가문을 오가며 사회 계층을 상승시킵니다. 그녀에게 결혼, 성, 관계는 목표 달성을 위한 도구이자 권력 쟁취의 수단입니다.
- 기쁨 = 통제 (Control): 모데스타에게 기쁨은 자신의 삶을 타인의 시선이나 사회적 규범으로부터 완전히 독립시켜 스스로 통제하는 것입니다. 빈곤과 폭력의 희생자로 시작했던 그녀는, 다시는 무력하게 당하지 않기 위해 권력과 지식을 쟁취합니다.
- 윤리적 경계의 파괴: 모데스타의 여정은 전통적인 도덕률과 윤리적 경계를 의도적으로 파괴합니다. 그녀는 자신의 야망을 위해 때로는 살인이나 금기를 포함한 극단적인 행위도 서슴지 않는데, 이는 가부장제 사회의 억압을 뚫고 나가려는 그녀의 필사적인 투쟁을 상징합니다.
🧠 지성과 관계의 '전략가'
모데스타는 아름다움이나 재력보다는 타고난 지성과 냉철한 관찰력을 자신의 가장 강력한 무기로 사용합니다.
- 지식의 힘: 그녀는 독학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귀족 가문 내에서 주변 인물들의 감정적, 사회적 약점을 정확히 파악하는 인간 심리의 대가가 됩니다. 그녀는 주변 사람들을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그들의 욕망을 이용합니다.
- 사랑과 권력: 모데스타에게 관계는 감정적인 교류를 넘어선 권력 쟁취의 장입니다. 그녀는 남성과 여성 모두와 관계를 맺는데, 이 관계들은 그녀의 사회적 지위를 상승시키거나,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거나, 지적인 동반자를 얻는 데 활용됩니다. 그녀의 여성 간의 사랑은 성적인 해방과 주체적인 욕망의 발현을 상징합니다.
👩❤️💋👩 성적 해방과 다양한 관계의 탐닉
드라마는 모데스타가 남성과 여성 모두와 관계를 맺으며 자신의 성을 탐험하는 과정을 매우 솔직하고 대담하게 묘사합니다.
🌿 레오노라: 억압된 지성과 성적 각성 (수녀원 시기)
모데스타가 고아로 수녀원에 들어갔을 때, 레오노라 수녀원장은 그녀의 지성과 특별함을 가장 먼저 알아본 인물입니다. 이들의 관계는 모데스타의 인생에서 지적 탐구와 금지된 성적 자각이 시작된 중요한 장소입니다.
- 지적 유대: 레오노라는 모데스타에게 책과 지식을 제공하며, 모데스타의 급진적인 사고방식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레오노라는 모데스타의 닫힌 세상을 열어준 정신적 멘토이자 첫 번째 어머니상입니다.
- 성적 억압과 매혹: 동시에, 모데스타는 레오노라에게서 강한 동경심과 성적인 매혹을 느낍니다. 레오노라는 성직자로서 자신의 욕망을 억압하지만, 모데스타는 그 억압된 에너지를 감지하고 그녀에게 도발적으로 다가갑니다. 이 관계는 결국 레오노라의 도덕적 딜레마와 수녀원의 질서를 파괴하는 결과를 낳았고, 모데스타가 세속 세계로 쫓겨나는 계기가 됩니다.
💖 베아트리체: 순수성과 비극적 사랑 (귀족 가문 시기)
모데스타가 레오노라의 친정인 귀족 가문(브란디포르티 가문)에 들어가면서 베아트리체 공주를 만납니다. 베아트리체는 레오노라의 딸로, 모데스타에게 스승의 피를 이어받은 '대체된 사랑'이자, 그녀의 첫 번째 진정한 여성 연인이 됩니다.
- 순수한 사랑과 분신: 베아트리체는 신체적 장애(다리 불편함)를 가지고 있어 사회적 제약에 갇혀 있으며, 모데스타의 거칠지만 자유로운 정신에 깊이 매료됩니다. 모데스타는 베아트리체에게서 자신이 가질 수 없었던 순수함과 섬세함을 발견하며 깊은 애정을 느낍니다. 이들의 관계는 모데스타의 많은 관계 중에서도 가장 순수하고 헌신적인 형태의 사랑을 보여줍니다.
- 갈등: 하지만 모데스타의 야망과 조종적인 본능은 이 관계에 그림자를 드리웁니다. 모데스타는 가문 내 권력을 잡기 위해 베아트리체의 오빠인 이폴리토와 결혼하고, 결국 베아트리체는 모데스타의 권력 투쟁 영향력 속에서 두려움을 느끼고 독립을 시도하지만, 모데스타에게 베아트리체는 진정한 사랑이기에 그녀에게 자신의 사랑을 고백하고 그녀를 지켜줄것을 약속하며 두 사람은 함께 합니다.
레오노라와 베아트리체는 모데스타에게 욕망의 표본과 사랑의 이상을 제시합니다.
🏰 귀족 가문과 권력 쟁취의 예술
모데스타가 들어가게 되는 귀족 가문은 당시 시칠리아 사회의 축소판입니다. 모데스타는 이 가문 내에서 관찰자이자 조종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가문의 모든 비밀과 약점을 파악하고 자신의 권력을 확장해 나갑니다.
- 모데스타의 지성: 그녀의 진정한 무기는 외모나 재력이 아닌 탁월한 지성과 독학으로 얻은 문화적 교양입니다. 모데스타는 지식을 통해 가문의 사람들을 압도하고, 스스로 여성 지식인으로서의 자리를 확립하려 합니다.
- '기쁨의 예술'의 정의: 모데스타에게 '기쁨'이란 단순히 쾌락이 아닌, 자신의 삶을 완전히 통제하고, 운명의 희생자가 되는 것을 거부하는 주체적인 의지를 의미합니다. 그녀는 모든 사회적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을 궁극적인 기쁨으로 여깁니다.
🌟 대담하고 도발적인 여성 서사
《L'arte della gioia》는 여성의 역사와 욕망에 대한 관습적인 시각을 완전히 뒤엎는 대담한 작품입니다. 이 드라마는 주인공 모데스타의 비윤리적이고 파괴적인 선택들을 미화하지 않으면서도, 그녀가 그 시대의 가장 진보적이고 급진적인 여성 해방의 상징이 될 수밖에 없었던 사회적 배경을 입체적으로 보여줍니다.
🎯 개인기준(취향) 평점
💕 러브 신 수위: ♥♥♥♥♥
⭐ 평점: ★★★★★

댓글
댓글 쓰기